
MVC (Model-View-Controller) Model : 데이터 View : 실제로 렌더링되어 보이는 페이지 Controller 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준다 MVC 패턴은 Dispatcher Servlet을 중심으로 동작합니다. Dispatcher Servlet은 Servlet의 한 종류로 Servlet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 Servlet 특징 JAVA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 웹 기반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처리해주는 역할 HttpServlet이라는 JAVA 클래스를 상속 요청,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기술 클라이언트가 요청 시,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는 프로그램 Servlet의 생명주기 init() - 서블릿이 처음으로..

Spring? :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특징을 잘 살려낸 프레임워크 Spring에는 핵심 기술이 DI, IoC가 있습니다. IoC (제어의 역전, Inversion of Control)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개발자로부터 컨테이너로 넘어간 것 객체의 생성부터 생명주기까지 전부 컨테이너가 관리 컨테이너가 직접 Bean을 생성/관리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코드에 객체를 선언하지 않아도 됨 (클래스들의 의존도를 줄여줌) *Bean :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계설정, 사용을 제어해주는 오브젝트를 말함 * IoC는 역순으로 객체를 생성해주고 컨테이너로 객체들이 결합까지 되어 담겨진다는 의미로 IoC라 한다. 일체형의 경우 A클래스가 B를 생성하고, B 클래스가 C클래스를 생성합니다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